유명 분자 p53의 조절과 기능
p53은 가장 중요한 종양 억제 유전자로 넓은 범위와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979년 p53 단백질이 발견된 이래로 p53은 분자 생물학과 종양학에서 "스타 분자"가 되었습니다.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p53을 키워드로 검색하면 10만 건이 넘는 논문을 찾을 수 있습니다.
Bcl-2 Family
Bcl-2 is the first discovered anti cell death gene that has been shown to prevent various stimuli induced cell apoptosis, including serum deprivation, heat shock, and chemotherapy agents. In addition, Bcl-2 can also inhibit certain forms of necrotic cell death, such as necrosis induced by hypoxia and respiratory depression.
고전적 신호 경로 요약 - Caspase 단백질 계열
Caspase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프로테아제 그룹이고 정식 명칭은 시스테인 아스파르테이트 특이 프로테아제입니다. Caspase의 중요한 공통 특징 중 하나는 그들의 활성 부위가 모두 시스테인을 포함하고 있어 표적 단백질의 아스파트산 잔기에서 펩타이드 결합을 특이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Caspase가 특정 단백질을 매우 선택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들은 프로그램된 세포사멸(세포사멸, pyroptosis, necroptosis 등 포함)과 염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재까지 인간에서 11가지 다른 Caspase가 동정되었습니다. 포유류 Caspase 계열 단백질은 구조와 기능 의존적으로 세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AKT 신호 경로
AKT 개요
AKT(PKB 또는 Rac)는 세포의 기본 기능인 전사, 번역, 증식, 성장, 세포사멸 등을 조절하는 PI3K/AKT/mTOR 신호 경로(PAM 경로)의 핵심 노드에 위치한 세린/트레오닌 키나제입니다. AKT는 Akt1, Akt2, Akt3의 세 가지 아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AKT의 PH 도메인(플렉스트린 상동 도메인)은 PIP2와 PIP3에 특이적으로 결합해서 AKT를 세포막에 정위시킵니다. 이 후에 키나제 도메인은 ATP의 인산기를 기질 트레오닌에 인산화하기 위해 인산화합니다.
AKT signaling pathway
AKT (PKB or Rac) is a serine/threonine kinase located at the core node of the PI3K/AKT/mTOR signaling pathway (PAM pathway), regulating basic functions such as transcription, translation, proliferation, growth, and apoptosis of cells. AKT has three subtypes: Akt1, Akt2, and Akt3. The PH domain (pleckstrin homology domain) of AKT specifically binds to PIP2 and PIP3, allowing AKT to be localized on the cell membrane. Subsequently, the kinase domain transfers the phosphate group of ATP to the substrate threonine for phosphorylation.
EGFR신호 경로
EGFR소개
EGFR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는 항종양 치료 분야에서 가장 고전적인 표적입니다. EGFR은 포유류 상피 세포, 섬유아세포, 교질세포, 각질 세포 등 다양한 세포 표면에 널리 분포되어 있습니다. EGFR 신호 경로는 세포 성장, 증식, 분화 등 생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GFR의 돌연변이 또는 과발현은 일반적으로 종양을 유발합니다. EGFR은 타입 1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에 속하는 단백질이고 분자량은 170kDa이고 세포막을 관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EGFR은 세포막 표면에 위치하고 EGF와 TGFα를 포함한 리간드와 결합해서 활성화됩니다. 활성화 후 EGFR은 단량체에서 이량체로 변화하지만 활성화 전에 이량체가 존재한다는 증거도 있습니다. 게다가 EGFR은 ErbB2/Her2/neu와 같은 ErbB 수용체 계열의 다른 구성원들과 결합해서 활성화될 수도 있습니다.
7 Item(s)